효과적인 학습지도를 위해 초등학교 과학교육과정과 관련된 이론과 실제를 구체적 경험을 통해 익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특히 탐구 활동을 중시하여 구체적인 사물이나 현상의 관찰과 조작 경험을 바탕으로 과학과 학습이 심도 있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생활주변에서 일어나는 문제를 스스로 발견, 해결 하려는 태도를 기르며, 부전공을 통하여 초등과학 교육자의 자질을 강화하도록 지도한다.
과목명 | 학점 | 비고 |
---|---|---|
생명의 경이로움 (The wonder of life science) |
2 | 생태계의 특징, 식물, 동물, 미생물 등의 구조와 기능을 세포, 조직, 기관, 기관계, 개체, 개체군, 생태계 수준에서 포괄적으로 탐색한다. |
창의적 실험화학 (Creative experimental chemistry) |
2 | 초등학교 과학교과서의 물질영역의 실험을 변형하여 보다 재미있고 학생들의 창의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실험실습 교육이다. |
과학탐구활동 (Science Exploration Activities) |
2 | 학생들이 다양한 과학탐구 활동을 통해 과학에 흥미와 관심을 갖고 자발적으로 학습에 참여하여 과학적 지식과 탐구기능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
야외생물과의 만남 (Meeting with outfield lives) |
2 | 예비 초등교사로서 학교 현장에서 아동들을 야외에 이끌고 나가 다양한 생명 현상을 관찰하고 탐구하는 방법을 지도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해양과 육상 생태계를 직접 관찰하고 탐구하는 경험을 통하여 이를 효과적으로 가르칠 수 있는 소양을 기른다. |
나노화학 (Nano chemistry) |
2 | 초등학교 과학교과서에서 이용되고 있는 MBL 장치, pH meter, 적외선 온도계, 중금속 측정장치, 소음, 비중계 등 각종 과학실험 장비를 이해하고, 사용방법을 습득하여 심화된 과학교육이 되게 한다. |
천문 오딧세이 (Astronomical Odyssey) |
2 | 천체망원경의 구조와 원리를 알고 천체관측을 한다. |
부산의 지질탐구 (Geological exploration of Busan) |
2 | 지층과 암석의 변화과정을 통해 지구의 역사를 알아본다. |
과학프로젝트 (Tutoring of Elementary Science Curriculum) |
2 | 실생활 문제 해결 또는 과학교과 간 통합 과제 해결과 같은 과학 프로젝트 학습을 통해 스스로 동기유발을 하여 관련된 배경지식을 심화하고 참여도를 높여 21세기를 살아가는데 필요한 과학 핵심역량을 함양한다. |
초등과학과 교육과정 튜터링 (Teaching Scientific Research) |
2 | 초등학교 현장에는 많은 과학행사와 과학관련 업무가 있다. 과학전람회, 과학체험교실, 현장 논문 등 많은 업무가 있다. 이 과목을 통해 지도요령 및 현장 논문 작성 방법 등을 교육한다. |
초등과학과 교육과정 트레이닝 (Training of Elementary Science Curriculum) |
2 | 과학학습 평가는 평가를 통해 학생들이 자기주도적인 학습자가 되는 데 도움이 되어야 한다. 이 과목을 통해 학생들은 평가 문제와 기준에 대해 자신들의 학습 활동을 평가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