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교에서의 교육현상을 체계적으로 탐구하는 학과이다. 본 학과에서는 교육학의 성격에 입각하여 교육철학, 교육사, 교육사회학, 교육행정학, 교육심리학, 교육과정 및 수업 등의 학문적 영역을 탐구한다. 학생들은 이러한 학문들을 넓고 깊이 공부함으로써 교육적 안목의 지평 을 넓히고, 교육의 이해를 깊게 하며, 교육현장에서 교육문제 해결과 교육발전에 기여할 능력을 갖춘다.
과목명 | 학점 | 비고 | |
---|---|---|---|
미래교육의 동향 (Trends in Future Education) |
3 | 미래사회의 변화 및 교육환경의 변화에 따라 교육정책 및 학교교육 현장에 미치는 변화의 동향을 이해하여 예비교사의 미래 교육 현장 적응 역량과 탐구 역량을 함양한다. | |
교육고전 읽기 (Reading on Educational Classics) |
3 | 예비교사의 미래 소양 강화 및 교직 적·인성 함양을 위해 고전에서 길을 찾아 교육현장 이해와 적용에 깊이를 갖춘다. | |
교실 또래관계의 이해와 실제 (Peer Relationships in the Classroom: Theory and Practice) |
택1 | 3 | 아동 및 초기청소년기의 또래관계는 학업적 적응과 사회성 발달 전반에 핵심적인 영향을 미친다. 특히, 교실내 또래관계는 다양한 형태의 규범, 또래집단의 구성 그리고 학급 시민성 발달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다. 본 교과목에서는 학급내 또래관계를 이해하는데 필수적인 또래지위(peer status), 집단역학(group dynamics), 또래네트워크(peer network)에 대한 이론적 내용을 학습하고, 실제 학급 사례탐구 및 관찰을 통해 학급내 또래집단의 사회적 과정에 대한 예비 교사의 민감성과 관리역량을 함양한다. |
교사의 교육과정 리터러시 (Teacher's Curriculum Literacy) |
3 | 초등학교 예비교사들이 교사의 교육과정 리터러시에 관한 주요 이론을 이해하고 교사의 시각에서 이를 우리나라 초등학교급의 국가수준에서 개발된 교육과정과 실제 교육 현장에 적용되는 교육과정의 실제 및 교실 적용 사례로 검토·분석하는 과정을 통해 교사의 교육과정 소양을 함양한다. | |
미래학교와 교육과정 (Future of School and Curriculum) |
3 | 우리나라의 현행 교육과정 교육과정에 초점을 두고 지금까지 운영된 우리나라의 교육과정을 입체적으로 이해한다. | |
심리측정과교육 (Research Methodology in Education) |
3 | 교육에서 사용되고 있는 인간 심리특성을 파악하는 기초 개념과 이론을 이해하여 학교 교육현장에 필요한 측정학적 사고력을 갖춘다. | |
학교학급경영 문제 사례 (School Classroom Management Case) |
택1 | 3 | 예비교사들이 교육에 관한 법규범(法規範) 체계를 이해하고, 학교교육에 참여하는 다양한 주체들의 교육 권리와 의무, 교육제도와 교육정책의 근거가 되는 법령과 지방조례 등을 학습함으로써 교육법 의식을 함양하고 법에 근거한 교육활동을 수행할 수 있는 역량을 개발함 |
교육학논리 및 논술교육 (Logics and Essay-Writting in Education) |
3 | 실제 학교 현장의 이슈나 문제를 교육학 이론과 신문기사, 논설문 등을 통해 심도 있게 논의하고 그 가운데서 논지를 찾아 글로 표현하는 과정을 통하여 교직인성 및 전문성에 대한 역량을 고취하고 의사소통 역량, 자기관리 역량을 함양시켜 나간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