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하단바로가기
Love, Wisdom, Volunteer BNUE

부산교육대학교 부산교육대학교

참된 스승의 요람, 부산교육대학교

대학

학과소개

미술교육과

Department of Art Education
  • 학과사무실

    미술관 1층

  • 학과사무실 전화번호

    500-7270

미술교육과 대표 이미지
  • 학과장

    이은지

  • 학과사무실 팩스

    500-7271

  • 학과메일

    art@bnue.ac.kr

교육목표

미술 및 미술교육의 본질을 이해하고, 유능한 초등교사로서의 자질을 함양하기 위하여 미술과 교재연구, 교수법에 대한 분야를 다룬다. 그리고 부전공 과정으로는 미술사, 미술교육론, 아동미술교육연구, 조형교육연구에 대한 과목을 깊이 다루고, 소묘, 한국화, 서양화, 디자인, 공예, 조소, 서예 영역에 대한 실기와 교수법을 익히게 한다.

교과목내용

과목명 학점 비고
드로잉기법
(Drawing Techniques)
택1 2 조형예술의 전 영역에 기초가 되는 과정으로서 사물의 관찰, 분석, 구성에 대한 이론과 기법을 습득하여 형체의 시각적 표현과 해석 방법을 익혀서 각자의 조형적 표현에 활용하게 한다.
수채화
(Watercolor)
2 초등학교에서 가장 많이 취급되는 수채화의 재료의 특성과 표현의 효과를 익히게 하며 수채화 지도 방법에 대한 연구를 하게 한다.
도자공예
(Ceramic Art)
2 도자기 제작 과정과 점토 재료의 특성 및 용구 사용법을 익히고 다양한 도자 형태를 제작할 수 있는 조형 능력을 함양한다.
입체 조형과 표현기법
(3 Dimensional Form & Expressive Techniques)
2 초등미술교육에서 응용할 수 있는 입체 표현의 기초적인 기법과 재료의 표현 방법을 익히고 조형적 개념, 비례, 형태, 운동감, 양감, 질감 등을 이해하여 보다 높은 수준의 조형 원리를 함양한다.
한국화교육방법
(Educational Method of Korean Painting)
2 초등학교의 미술교육 방법으로 한국화의 실기 능력을 심화하고 한지를 활용한 한국화의 영역을 확대한다.
서양화
(History of Western Art)
2 회화 재료의 특징을 이해하며 질감, 양감 등을 연구, 발견하게 하며 다양한 소재와 표현 활동을 통하여 창의적이고 개성적인 표현능력을 신장시키며, 본질적인 회화의 방법과 원리를 연구하고 보다 수준 높은 조형적 특징과 다양한 표현기법을 개발하여 현대회화의 조형적 표현 가능성을 탐색하게 한다.
디자인
(Design)
2 현대 디자인의 흐름과 이해를 통하여 시각언어로서 디자인이 갖는 전달 기능을 인식하고 디자인 사고를 바탕으로 한 합리적인 조형능력과 자질을 심화시켜 초등미술교육의 디자인 영역에 대한 지도 능력을 기른다.
서양미술사
(History of Western Art)
택1 2 고대에서 현대까지 서양 미술을 체계적으로 파악하게 하며 미술의 감상 및 비평 능력을 기르기 위해서 미술사의 흐름과 주요 미술가들의 작품을 살펴서 미의식에 대한 이해 및 보다 차원 높은 서양미술에 대한 기초 지식을 기른다.
한국미술사
(History of Korean Art)
2 선사시대부터 조선시대, 개화기 및 현대에 이르는 한국 미술의 변천 과정을 살펴보고, 전통미술에 변화를 가져온 사회, 문화적 요인에 대한 탐구를 통하여 우리의 전통적 조형의식과 미의식에 대한 이해와 기초지식을 기른다.
서예교육방법
(Educational Method of Calligraphy)
1 초등학교 미술교육에서 서예의 실기 능력을 심화하고 한글을 활용한 붓글씨쓰기 영역을 확대하는 조형감각을 익힌다.
판화기법연구
(A Study of Printmaking Techniques)
1 초등학교 미술 수업 시간에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재료와 용구를 이용하는 판화의 기법과 제작 방법을 배우고 지도 방법을 학습한다.
미술교육론
(Theory of Fine Art Education)
2 미술교육론을 통하여 미술교육의 의의와 미술교육사조의 변천 과정을 확실하게 인식시키며 초등미술교육의 이해를 더욱 심화시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