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하단바로가기
Love, Wisdom, Volunteer BNUE

부산교육대학교 부산교육대학교

참된 스승의 요람, 부산교육대학교

대학

학과소개

사회교육과

Department of Social Education
  • 학과사무실

    인문사회관 3층

  • 학과사무실 전화번호

    500-7220

사회교육과 대표 이미지
  • 학과장

    배화순

  • 학과사무실 팩스

    500-7221

  • 학과메일

    social@bnue.ac.kr

교육목표

사회과학과 교과교육학을 학문적 배경으로 그 연구결과를 활용하여 장차 초등학교 교사가 될 사 람들(예비교사)에게 사회현상을 이해하고 민주시민교육을 실시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주는 것을 주요한 임무로 하는 학과이다. 이를 위하여 교수들은 사회과학 및 사회교육학에 관한 연구와 강의를 수행하며, 지역사회학교 의 사회과 교육에 관한 제반활동을 돕는다.

교과목내용

과목명 학점 비고
서양문화사특강
(Lecture on Western Civilization)
2 주로 사상과 문화 중심으로 서양사 전반을 살펴봄으로써 근대문명의 기원과 성격에 대해 이해한다.
한국헌법교육론
(The Theory of Korean Constitution)
2 우리나라 최고의 기본법인 헌법을 고찰함으로써 안으로는 기본권과 통치권을 이해시키고 밖으로는 법치주의의 중요성을 깨닫게 한다.
사회과 교육과 사고력 교육
(How to think through social studies education)
2 본 교과는 지리적 환경에 대한 다양한 주제를 포함하고 있는 사회과 교육의 내용학과 사고 연구에 대한 대표적인 학문 영역인 인지심리학을 바탕으로 사회과 교육에서 사고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주제, 교수·학습방법, 사고 전략 등을 교수 내용으로 한다.
지리실습
(Practice in Geography)
2 지리교육의 주요 개념인 지역, 공간, 장소, 환경관련 조사 및 분석 방법과 기능을 익히며, 특히 첨단 지도 및 기기를 활용하여 관련 지식과 기능을 연마한다.
사회정치이념사특강
(Lecture on Modern Political and Social)
택1 2 근대의 사회이념과 정치이념들의 요체와 역사적 전개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사회과교육의 본령인 시민사회와 국가에 대한 이해를 높인다.
사회과 수업연구
(Social Studies Lesson Study)
2 본 교과목은 초등 사회과 수업운영에 필요한 수업 구성(설계), 수업 실천, 수업 분석 등에 관련된 이론을 검토하고, 실제로 실천된 초등 사회 수업을 대상으로 이들 관점에서 평가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이를 바탕으로 초등 사회과 수업지도에 필요한 제반 능력을 갖추어 초등 교사의 전문성을 육성하도록 한다.
경제와 사회
(Economy and Society)
택1 2 우리 사회가 직면한 문제들을 경제적 관점에서 통찰하고 다각적인 대응책의 모색과 전문지식의 함양, 그리고 사회 전반에 대한 이해를 통해 학교경제교육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한다.
현대사회의 정치와 법
(The politics and laws of modern society)
2 현대사회의 복잡한 변동과 갈등과 관련하여, 법학과 정치학의 여러 이론을 통해 비판적 사고력과 분석력을 기르도록 하는 강좌이다.
경제교육론
(Introduction to Economics)
2 경제교육 내용 변화를 통해 경제교육의 목적, 체계 및 유용성을 이해하고 초등학교 사회과 경제단원을 분석하여 효율적인 지도방법을 체득하게 한다.
지리답사
(Field work in Geography)
2 지리학의 기본 개념인 지역, 공간, 장소, 환경을 답사를 통해 심층적으로 이해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