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하단바로가기
Love, Wisdom, Volunteer BNUE

부산교육대학교 부산교육대학교

참된 스승의 요람, 부산교육대학교

대학

학과소개

영어교육과

Department of English Education
  • 학과사무실

    교수연구관 2층

  • 학과사무실 전화번호

    500-7310

영어교육과 대표 이미지
  • 학과장

    우길주

  • 학과사무실 팩스

    500-7311

  • 학과메일

    english@bnue.ac.kr

교육목표

영어교육과는 세계화시대를 맞이하여 기본적인 수준의 의사소통 능력을 가지고 초등학교 영어교육을 담당하고 영어교육의 발전에 기여할 유능한 교사양성을 목표로 한다.
이에 영어능력 향상을 위한 영어 듣기, 말하기, 쓰기, 읽기 수업을 하고 있으며, 한층 더 실용적인 영어능력을 배양하기 위하여 원어민 교수와의 생활영어, 영어회화 수업을 병행할 뿐 아니라, 교실영어와 다양한 교수법 및 교재연구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실을 적극 활용하여 영어 구사능력 및 수업진행 능력 개발을 도울 수 있는 실제적이고 지속가능한 지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교과목내용

과목명 학점 비고
실용영어 발음지도
(Teaching Practical English Pronunciation)
2 실전에서 사용되는 영어 발음과 사전에서 표기된 발음의 차이를 비교하고 실전 상황에서의 영어 발음변화에 대한 원인과 법칙에 대해 알아보고 실용적인 발음 지도법을 고찰해본다.
영어읽기지도
(English Reading Instruction)
2 영어습득의 기본이 되는 읽기교육의 이론적 배경을 체계적으로 고찰하고, 실제 현장수업 적용을 위한 구체적인 읽기 수업 단계를 익힌다.
초등현장 실용영어
(Practical English for Elementary Classroom)
2 초등영어 영어과 교육과정의 이해를 바탕으로 초등현장의 실용영어를 익히고 영어 수업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준다.
초등영어수업의 실제
(English Practice for the Elementary School Classroom )
2 교수법 이론을 적용한 초등영어수업 시연을 통해 초등교육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교수 능력을 함양한다.
리터러시교육
(English Literacy Instruction)
택1 2 최신 리터러시 교육의 이론적 흐름을 이해하고, 리터러시 기반 수업 구성을 위한 핵심 요소들을 교실현장에 맞게 구성 적용해 본다.
영상영어교육
(Teaching English through Media)
2 영화를 시청한 후, 영어교육 관점에서 다양하게 분석해보고, 이를 교육 현장에 접목시킬 수 있는 방법에 대해 고찰해 본다.
영어듣기·말하기지도
(Teaching Method of Elementary English Listening & Speaking)
2 초등영어교육의 듣기 교육과 말하기 교육의 이론적 바탕을 연구해서 실제 교육에 적용하여 효율적인 듣기·말하기 교육이 되게 교수한다.
초등영어교육의 이해
(Understanding of primary English Education)
2 초등영어교육에 필요한 영어교육이론과 교육과정 등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와 점검을 토대로 초등교육 현장에 적용할 교수법과 교육과정을 최종 검토한다.
영미문화의이해
(British and American Culture)
2 제 2 언어교육영역에서 핵심이 되는 사회 문화적 측면을 다루는데 중점을 두는 과목으로서 특히 EFL 초등영어교육의 현장에서의 이론과 실제를 다루게 된다. 따라서 언어와 문화의 이해를 기본으로 하고 교실 내 수업에서의 문화교육의 실제에 초점을 둔다.
영어 쓰기 지도
(Second Language Writing)
2 영어 글쓰기의 이론 및 연습을 통해 영어 문어의 담화 구조를 이해하여 Genre-based approach 와 Process-based approach 통합적 능력을 습득하는 것이 목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