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하단바로가기
Love, Wisdom, Volunteer BNUE

부산교육대학교 부산교육대학교

참된 스승의 요람, 부산교육대학교

대학

학과소개

교육학과

Department of Education
  • 학과사무실

    교수연구관 3층

  • 학과사무실 전화번호

    500-7290

교육학과 대표 이미지
  • 학과장

    김진구

  • 학과사무실 팩스

    500-7291

  • 학과메일

    education@bnue.ac.kr

교육목표

초등학교에서의 교육현상을 체계적으로 탐구하는 학과이다.
본 학과에서는 교육학의 성격에 입각하여 교육철학, 교육사, 교육사회학, 교육행정학, 교육심리학, 교육과정 및 수업 등의 학문적 영역을 탐구한다.
학생들은 이러한 학문들을 넓고 깊이 공부함으로써 교육적 안목의 지평 을 넓히고, 교육의 이해를 깊게 하며, 교육현장에서 교육문제 해결과 교육발전에 기여할 능력을 갖춘다.
학생들은 실천적 학습활동을 통하여 실과의 교수-학습 방법을 이해하고 실과 지도에 필요한 실습기능을 키워 유능한 교과 담당교사로서 능력을 갖춘다.

교과목내용

과목명 학점 비고
미래교육의 동향
(Trends in Future Education)
3 미래사회의 변화 및 교육환경의 변화에 따라 교육정책 및 학교교육 현장에 미치는 변화의 동향을 이해하여 예비교사의 미래 교육 현장 적응 역량과 탐구 역량을 함양한다.
교육고전 읽기
(Reading on Educational Classics)
3 예비교사의 미래 소양 강화 및 교직 적·인성 함양을 위해 고전에서 길을 찾아 교육현장 이해와 적용에 깊이를 갖춘다.
교실 또래관계의 이해와 실제
(Peer Relationships in the Classroom: Theory and Practice)
택1 3 아동 및 초기청소년기의 또래관계는 학업적 적응과 사회성 발달 전반에 핵심적인 영향을 미친다. 특히, 교실내 또래관계는 다양한 형태의 규범, 또래집단의 구성 그리고 학급 시민성 발달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다. 본 교과목에서는 학급내 또래관계를 이해하는데 필수적인 또래지위(peer status), 집단역학(group dynamics), 또래네트워크(peer network)에 대한 이론적 내용을 학습하고, 실제 학급 사례탐구 및 관찰을 통해 학급내 또래집단의 사회적 과정에 대한 예비 교사의 민감성과 관리역량을 함양한다.
교사의 교육과정 리터러시
(Teacher's Curriculum Literacy)
예비교사가 국가수준에서 개발된 교육과정과 학교 현장에 적용되는 교육과정 간의 관계를 읽어내는 문해력을 갖추는 데 필요한 교육과정 이론과 실제에 관한 내용
미래학교와 교육과정
(Future of School and Curriculum)
3 우리나라 교육과정의 변천 과정을 이해한다.우리나라의 현행 초등학교 교육과정을 이해한다.
심리측정과 교육
(Psychometrics and education)
3 심리측정학의 역사와 이론을 탐구하며, 측정과 평가 그리고 교육과 사회와의 연관성과 영향력을 이해하며, 이 시대 교사로서의 전문적 소양을 함양한다.
학교학급경영 문제 사례
(School Classroom Management Case)
택1 초등학교 현장의 학교 및 학급 경영의 실제 문제를 사례 중심으로 이해하여 예비교사의 교육 현장 대응 역량을 함양한다.
교육학논리 및 논술
(LOGICS AND ESSAY-WRITTING IN EDUCATION)
교육학 이론을 바탕으로 현재 학교와 사회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교육적 이슈들을 진단하고 해석하여 해결 방향을 탐색한다. 특히 임용 논술과 관련하여 기존의 기출문제들을 점검해 보고 최근 경향들을 살펴보며 차후 교육현장과 관련하여 출제가능성이 있는 학교 교육문제, 사회교육문제 들을 탐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