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하단바로가기
Love, Wisdom, Volunteer BNUE

부산교육대학교 부산교육대학교

참된 스승의 요람, 부산교육대학교

대학

학과소개

초등특수·유아교육과

Department of Elementary Special EducationㆍEarly Childhood Education
  • 학과사무실

    교수연구관 3층 3211호

  • 학과사무실 전화번호

    500-7300

유아교육과 대표 이미지
  • 학과장

    여승수

  • 학과메일

    child@bnue.ac.kr

교육목표

본 전공은 특수교육과 유아교육을 융합하여 예비 초등교사가 통합교육과 이음교육에 대한 전문성을 갖출 수 있도록 돕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최근 특수교육대상 학생들의 일반 초등학교 진학 비율이 증가하면서, 예비 초등교사들이 장애 유형별 맞춤형 교육을 제공할 수 있는 특수교육 전문성을 갖추는 것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이러한 현장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본 전공에서는 '기초학습부진의 이해'와 같은 특수교육 심화 전공 과목을 제공한다. 또한, 유치원과 초등교육 간의 연계를 강조하는 이음교육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예비 초등교사들의 영유아교육 전문성도 중요한 요소로 자리 잡고 있다. 본 전공에서는 유아교육 관련 심화 전공 과목을 개설하여 예비 초등교사들이 이음교육에 대한 전문성을 기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교과목내용

과목명 학점 비고
아동과 가족
(Childhood and Family)
2 현대사회의 가족구조와 체계의 변화에 따른 부모와 아동의 심리적 변화를 이해하고, 사회와의 상호작용을 높이는 다양한 방법을 연구함으로써 아동의 정서능력 및 학습능력을 높이는 기본적인 자질을 갖추도록 한다.
인간, 교육 그리고 교사
(Human, Education & Teacher)
2 인간, 교육 및 교사는 교직에 있어서 예나 지금이나 미래에 있어서도 늘 고민하고 토론하고 연구해야 하는 가장 중요한 핵심 주제에 속한다 할 것이다. 이에 본 교과목을 통하여 관련 주제의 본질적인 의미, 문제 및 해결 방안을 함께 생각해보고자 한다.
기초학습부진학생의 지도
(Teaching students with learning difficulties )
3 읽기, 수학, 쓰기 등 기초교과영역에 있어서 어려움이 있는 학생들의 특성을 이해하고, 적합한 교수전략의 특성을 이해하는 목적을 갖고 있음
최신 뇌 과학과 유아교육
(Recent research on brain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3 뇌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과 구조를 이해한 후에 최신 뇌과학의 연구결과를 살펴보며,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유아교육의 시사점을 찾아보는 것이 본 수업의 주된 목적임
장애인과 생명윤리
(Disabled Person & Life Ethics)
택1 3 장애(인) 등 생명윤리와 관련된 다양한 주제들을 통하여 인간 존재의 본질적인 의미와 가치에 대해 연구함으로서 장차 교사로서의 올바른 인간관과 교육관을 정립하는데 기초적인 계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유아교육과정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3 유치원 교육과정의 목표와 지도 내용 및 발달 영역별 세부 지도 내용 방법 및 지도상의 유의점 등을 학습하도록 한다.
유아놀이교육
(Early Childhood Play Education)
3 유아 놀이의 이론과 실제를 통해 구성주의 관점의 놀이중심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놀이교육을 탐색해본다
아동상담특강
(Special Issue of Counseling Children)
2 아동상담특강은 개인상담, 집단상담, 환경적 상담, 사회교육의 영역 뿐만 아니라 부모교육을 어떻게 할 것인지를 다루는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무엇보다 현대상담의 종합적인 문제해결 접근 방법 및 행동과 인지적 변화를 촉진하는 주요 상담기법과 아동상담과의 관계를 학습하는 동시에 부모교육의 효율적인 방법을 심화시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