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하단바로가기
Love, Wisdom, Volunteer BNUE

부산교육대학교 부산교육대학교

참된 스승의 요람, 부산교육대학교

대학

학과소개

윤리교육과

Department of Ethics Education
  • 학과사무실

    인문사회관 1층

  • 학과사무실 전화번호

    500-7200

윤리교육과 대표 이미지
  • 학과장

    이상익

  • 학과사무실 팩스

    500-7201

  • 학과메일

    ethics@bnue.ac.kr

교육목표

주요한 교육목표는 도덕과 교육을 담당할 교사를 양성하는 것이다.
도덕교육론 및 교재연구, 철학의 이해, 윤리사상, 북한사회의 이해와 민족통일론, 인문사회과학의 기본 이론과 방법론 등을 연구한다.
이러한 교과활동을 통하여 학생들로 하여금 인간과 세계에 대한 철학적, 윤리학적 사고능력과 문제해결 능력을 함양하고,
앞으로의 교직활동에 필요한 전문적인 지식과 도덕적 품성을 갖추게 한다.

교과목내용

과목명 학점 비고
윤리적 실천과 도덕교육
(Moral Practice and Moral Education Theory)
2 윤리적 사고 및 실천의 의미를 도덕교육의 관점에서 이해하고, 초등도덕과 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도덕과 수업의 실제를 탐구한다.
인성이론
(Theory of human nature)
2 인성론은 인간의 자기 이해를 논하고 사람다운 삶의 본질을 규명하는 강좌이다. 본 강의에서는 동양과 서양의 인성론을 사상사의 맥락에서 개관할 것이다.
서양윤리학
(Western Ethics)
2 서양 윤리학의 기본 개념 및 규범윤리학, 메타윤리학, 응용윤리학을 개관함으로써 도덕교육의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고, 다양한 윤리적 문제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북한과 통일론
(North Korea and Unification Theory)
2 북한의 실상과 변화를 이해하고 북한 및 통일문제를 균형 있게 인식하며 바람직한 학교통일교육을 위한 역할과 과제를 모색한다.
민주주의론
(Theories of Democracy)
2 서양의 고대 민주주의에서 현대 민주주의까지 민주주의의 변천 과정과 주요 내용을 고찰한다.
도덕교육의 사상적 기초
(Philosophical Foundation of Moral Education)
2 철학과 사상의 흐름 속에 나타난 도덕교육의 이념들을 추출하여 통합적 도덕교육론을 모색한다.
근현대 정치윤리사상
(Oriental Ethics and Thought)
2 근현대 주요 정치사상가들의 윤리관을 비교 검토하여 근현대사상의 계보와 그 장단점을 요해한다.
동양윤리사상
(Eastern Ethical Thoughts)
택1 2 중국의 제자백가 중에서도 영향력이 컸던 유가(儒家), 도가(道家), 묵가(墨家), 법가(法家)의 윤리사상을 살핀 다음, 인도에서 전래한 불교(佛敎) 사상을 개관한다.
현대사조와 윤리
(Contemporary Thoughts and Ethics)
2 현대사회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주요 사조들을 살펴보며 시대정신에 걸맞은 윤리적 가치와 교육적 실천을 모색한다.
국제관계와 윤리
(International Relations and Ethics)
택1 2 국제사회의 형성과 국제관계의 변화 속에서 나타나는 오늘의 세계적 가치와 글로벌 윤리적 함의를 살펴보며 교육적 실천을 모색한다.
한국윤리와 성리학
(Korean Ethical Thoughts and Neo-Confucianism)
2 성리학의 기본 이념과 실천적 의미 등을 탐색한 다음, 퇴계와 율곡의 저술을 중심으로 조선시대 윤리사상의 주요 내용들을 살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