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하단바로가기
Love, Wisdom, Volunteer BNUE

부산교육대학교 부산교육대학교

참된 스승의 요람, 부산교육대학교

대학

학과소개

컴퓨터교육과

Department of Computer Education
  • 학과사무실

    인문사회관 3층

  • 학과사무실 전화번호

    500-7320

컴퓨터교육과 대표 이미지
  • 학과장

    김성원

  • 학과사무실 팩스

    500-7321

  • 학과메일

    comedu@bnue.ac.kr

교육목표

초등학교에서 컴퓨터교육을 주도할 예비 교사들에게 컴퓨터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과 그 교육방법을 습득하도록 하여 컴 퓨터교육을 담당할 수 있는 자질과 컴퓨터교육에 관련된 실제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하는 것을 기본 교육목표로 한다. 컴퓨터교육과의 교과 내용은 교사가 컴퓨터교육을 담당하기 위하여 필요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기본 지식과 컴퓨터응용을 위한 이론적 배경을 실험실습을 통해 학습하여 궁극적으로 컴퓨터를 효율적으로 교육에 활용하기 위한 교과를 학습하는 학과이다.

교과목내용

과목명 학점 비고
정보문화와 소프트웨어 교육의 이해
(Introduction to Information Culture and Software Education)
2 최신 정보기술과 문화에 대한 동향을 이해하고 소프트웨어 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이해한다.
로봇활용 소프트웨어 교육
(Software Education using Robots)
2 교육용 로봇을 활용하여 주어진 문제 상황들을 해결해보는 과정을 통해 학습자가 다양한 로봇 제작 및 로봇 프로그래밍을 경험토록하며 이를 바탕으로 컴퓨팅 사고력과 창의적 문제 해결력을 신장시키도록 한다.
교육용 응용도구 활용교육
(Educational Application Tool in Education)
택1 2 교육용응용도구를 교육현장에 활용하여 학습효과를 높이는 방법에 대한 심화 학습을 통해 교육용응용도구를 활용하는 교수 능력을 기른다.
AI기반 소프트웨어 코딩
(AI-based Software Coding)
2 소프트웨어 개발의 이론을 이해하고 초등학교 현장에서 각 교과목의 학습자료로도 활용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설계하고 직접 코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인공지능의 기본적인 개념을 습득하고 최신 동향을 고찰하여 이를 개발하는 소프트웨어의 컨텐츠에 반영함으로써 교육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이러닝 콘텐츠 설계
(E-learning Content Design)
2 이러닝 콘텐츠 개발을 위한 이론 및 개발 방법을 익혀, 효율적인 콘텐츠를 설계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창의적 사고와 컴퓨팅 기술
(Creative Thinking and Computing Technology)
2 소프트웨어를 구현하는 과정에서 컴퓨팅적 사고는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창의적 사고인 문제해결력을 나타내는 알고리즘의 중요성과 이를 표현하는 소프트웨어 기술의 다양성에 대하여 학습한다. 이를 통하여 창의적 사고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창의적 사고를 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초등컴퓨터교육학탐색
(Elementary Computer Education)
2 컴퓨터 교육학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도모하기 위한 교과로서 컴퓨터 교육과 관련된 기본적인 내용, 학습 이론과 교수 이론, 활용 및 평가 방안 등에 관하여 고찰하고 초등소프트웨어교육에 대한 이해 및 지도 능력을 함양한다.
창의 컴퓨팅 교육
(Creative Computing Education)
2 최근 교육현장에서 소프트웨어 교육과 관련하여 핵심 역량으로 강조되고 있는 컴퓨팅 사고력을 발현할 수 있는 교육방법을 학습한다. 실생활의 여러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컴퓨팅 사고력을 활용하면 복잡한 문제를 보다 효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다양한 종류의 창의 컴퓨팅 도구들을 활용하여 정보를 수집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프로젝트 학습 과정에서 절차적 사고력을 신장시킬 수 있다.
초등컴퓨터교육연구
(Research in Elementary Computer Education)
2 컴퓨터 교육학 관련 내용 및 최신 연구 동향과 쟁점 등을 원문을 통하여 학습한다. 특히 초등교육현장과 연계하여 컴퓨터의 교수매체적 특성에 관해 전반적으로 고찰해 본다.
소프트웨어교육방법론
(Software Education Methodology)
택1 2 컴퓨터 교육학 관련 내용 및 최신 연구 동향과 쟁점 등을 원문을 통하여 학습한다. 특히 초등교육현장과 연계하여 컴퓨터의 교수매체적 특성에 관해 전반적으로 고찰해 본다.
소프트웨어 현장교육
(Software Education in teaching field)
2 초등현장에서 실현되고 있는 다양한 교수방법을 현장을 통하여 체득하고 이해함으로써 창의적 교수설계 능력을 신장시킨다.